답십리 두산위브 아파트 83m²
DAPSIMNI DOOSAN WEVE APT. 83m²
- Date 2025
- Location Seoul, Korea
- Use Residence
- Area 83
㎡
답십리 두산 위브 아파트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신혼부부의 요청에 따라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효과를 내고자 했던 프로젝트이다. 모든 공정과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바닥 강마루와 벽지, 화장실과 다용도실 타일만 철거하고 방문과 문틀, 샷시와 가구는 재사용하되, 마감재만 바꾸어 시공하였다. 전체적으로 우드톤을 배제한 깔끔한 모노톤의 디자인을 요청하여 바닥부터 벽, 천정까지 최대한 채도가 빠져있는 마감재를 선택하여 시공하였으며, 기존 우드 톤의 샷시와 문들은 모두 화이트 계열의 시트를 새로 붙여 마감하였다. 새출발 하는 신혼부부를 위한 신혼집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신발장이나 주방가구를 재사용 하는 아쉬움이 남았기 때문에 이러한 아쉬움을 덜어내기 위해 천정 조명의 색온도를 바꾸어 신규 제품으로 교체하며 새 집으로 바뀐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하였다.
The Dapsimni Doosan We’ve Apartment project was commissioned by a newlywed couple who wished to remodel their home with minimal cost, aiming to achieve the greatest effect with the least expense. To minimize both construction processes and costs, only the flooring, wallpaper, and tiles in the bathrooms and utility room were removed, while the existing doors, door frames, window frames, and built-in furniture were reused with updated surface finishes.
At the clients’ request for a clean, wood-free monotone design, low-saturation material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the floors, walls, and ceilings to create a simple, cohesive aesthetic. The previously wood-toned window frames and doors were refinished with white film sheets for a fresh, uniform appearance.
Although some regret remained over reusing existing elements such as the shoe cabinet and kitchen furniture—unusual for a newlywed home—the lighting fixtures were replaced with new ones featuring adjusted color temperatures. This subtle yet effective change gave the entire space the refreshed feeling of a brand-new home.
답십리 두산위브 아파트 83m²
DAPSIMNI DOOSAN WEVE APT. 83m²
- Date 2025
- Location Seoul, Korea
- Use Residence
- Area 83
㎡
답십리 두산 위브 아파트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리모델링하고자 하는 신혼부부의 요청에 따라 최소의 비용으로 최고의 효과를 내고자 했던 프로젝트이다. 모든 공정과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 바닥 강마루와 벽지, 화장실과 다용도실 타일만 철거하고 방문과 문틀, 샷시와 가구는 재사용하되, 마감재만 바꾸어 시공하였다. 전체적으로 우드톤을 배제한 깔끔한 모노톤의 디자인을 요청하여 바닥부터 벽, 천정까지 최대한 채도가 빠져있는 마감재를 선택하여 시공하였으며, 기존 우드 톤의 샷시와 문들은 모두 화이트 계열의 시트를 새로 붙여 마감하였다. 새출발 하는 신혼부부를 위한 신혼집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신발장이나 주방가구를 재사용 하는 아쉬움이 남았기 때문에 이러한 아쉬움을 덜어내기 위해 천정 조명의 색온도를 바꾸어 신규 제품으로 교체하며 새 집으로 바뀐 듯한 느낌이 들 수 있도록 하였다.
The Dapsimni Doosan We’ve Apartment project was commissioned by a newlywed couple who wished to remodel their home with minimal cost, aiming to achieve the greatest effect with the least expense. To minimize both construction processes and costs, only the flooring, wallpaper, and tiles in the bathrooms and utility room were removed, while the existing doors, door frames, window frames, and built-in furniture were reused with updated surface finishes.
At the clients’ request for a clean, wood-free monotone design, low-saturation material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the floors, walls, and ceilings to create a simple, cohesive aesthetic. The previously wood-toned window frames and doors were refinished with white film sheets for a fresh, uniform appearance.
Although some regret remained over reusing existing elements such as the shoe cabinet and kitchen furniture—unusual for a newlywed home—the lighting fixtures were replaced with new ones featuring adjusted color temperatures. This subtle yet effective change gave the entire space the refreshed feeling of a brand-new home.